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krx중간가란 k중 무엇인가

주식틈새정보 2025. 3. 25. 13:44

목차



     

    주식 투자하다 보면 호가창이나 시세창에 ‘K중’이라는 말, 본 적 있으시죠? 처음 보면 ‘이게 뭐지? K-POP이랑 관계 있나?’ 싶을 정도로 낯설고 헷갈립니다. 특히 MTS(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나 HTS(홈 트레이딩 시스템)에서 자주 눈에 띄는데, 그 뜻을 정확히 알고 있는 투자자는 의외로 많지 않아요.

     

    이번 글에서는 ‘K중’이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투자할 때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까지 알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글 끝까지 읽으면, K중이 무엇인지 완전히 이해하고, 실전 매매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krx중간가란 k중 무엇인가

     

    K중 = KRX 중간가의 줄임말!

    먼저 핵심부터 짚고 갑시다.

    ‘K중’은 ‘KRX 중간가’를 줄인 말이에요.


    여기서 KRX는 한국거래소(Korea Exchange)의 약자고, ‘중간가’는 말 그대로 현재 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중간값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주식이 이렇게 호가창에 나와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 매수 1호가: 9,800원
    • 매도 1호가: 10,200원

    이 경우, KRX 중간가(K중)는 (9,800 + 10,200) ÷ 2 = 10,000원이 되는 거죠. 이 숫자가 바로 시장의 심리적 중심값, 즉 현재 이 종목을 사고 싶은 사람과 팔고 싶은 사람 사이의 ‘균형점’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럼 K중은 왜 중요한가요?

    이쯤에서 생기는 의문이 하나 있죠.


    "그냥 체결가 보면 되지, 굳이 중간가를 왜 봐야 해?"

    좋은 질문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K중은 실전 매매에서 꽤 유용한 힌트를 줄 수 있는 정보예요.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1. 매수·매도 세력의 힘을 가늠할 수 있다

    체결가가 계속 K중보다 위에서 형성되면, 매수세가 강하다는 뜻입니다. 반대로 체결가가 K중보다 아래로 떨어지면, 매도세가 우세하다는 신호일 수 있어요. 이걸 바탕으로 매매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죠.

    2. 호가 스프레드 상황을 한눈에 파악

    매수호가와 매도호가 간의 차이가 클수록, 시장 유동성이 낮고 변동성이 클 수 있어요. K중이 딱 중간에 놓여 있는지를 보면, 스프레드가 넓은지 좁은지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3. 매매 주문 넣을 때 기준점으로 활용

    예를 들어 "나는 너무 높게 사긴 싫고, 너무 낮게 걸면 체결도 안 되니까…" 싶을 때, K중 기준으로 매수 주문을 넣으면 적당한 선에서 체결될 가능성이 높아요.


    특히 ETF처럼 실시간 체결이 중요한 상품에서는 이 K중이 매우 실용적인 지표로 작용합니다.

    K중은 어디서 볼 수 있을까?

    대부분의 증권사 MTS/HTS에서는 호가창 옆이나 종목 정보란에 K중 항목이 표시돼 있어요. 이름 그대로 ‘K중’ 혹은 ‘KRX중간가’라고 나와 있으니, 주식창을 열어두고 한번 확인해보세요.


    특히 ETF, ETN, 우선주, 유동성 낮은 종목에서 자주 참고됩니다.

     

    혹시 내가 쓰는 MTS에선 안 보인다고요? 그렇다면 환경설정 > 시세표 설정 > 보기 항목 설정 같은 곳에서 ‘KRX 중간가’ 항목을 켜주면 됩니다.

    K중,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마지막으로, K중을 실전에서 어떻게 써먹을 수 있는지 간단한 팁을 드릴게요.

    • 단타할 때: 체결가가 K중보다 자주 위에 뜬다 = 매수세 강함 = 추세 지속 가능성
    • 매수 타점 잡을 때: K중보다 살짝 낮게 매수 주문 걸기 (합리적인 진입 시도)
    • 매도 타점 잡을 때: K중보다 높은 가격에 매도 걸기 (익절 노리기)
    • ETF 매매할 때: K중이 기준가격과 가까운지 확인해서 괴리율 확인

    마무리 – 이제 K중은 어렵지 않죠?

    ‘K중’이라는 생소한 말, 이제는 더 이상 낯설지 않으시죠?
    K중 = KRX 중간가, 한국거래소가 제공하는 실시간 시장의 중심가격입니다.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매매 전략을 세울 때 매우 유용한 힌트가 되어주는 데이터죠.

     

    앞으로 종목을 분석할 때, 그냥 체결가나 호가만 보지 말고 K중도 함께 체크해보세요.
    매매 판단이 훨씬 깔끔하고 똑똑해질 거예요.

     

    혹시 직접 K중 활용해보신 경험이 있다면 댓글로 나눠주세요!
    다음 글에서는 K중과 괴리율의 관계, 그리고 ETF 투자에서 생기는 실전 꿀팁들을 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