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퇴직연금? 그냥 퇴직할 때 받는 돈 아닌가요?”
이렇게 생각하는 분, 은근 많습니다. 하지만 퇴직연금 제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고, 각각 돈이 쌓이는 방식도, 나중에 받는 금액도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
특히 ‘확정기여형(DC)’과 ‘확정급여형(DB)’의 차이를 제대로 알아야, 내 퇴직금이 어떻게 불어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어요.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헷갈릴 일 없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퇴직연금 선택할 때, 전문가처럼 판단하실 수 있어요.
퇴직연금이란?
먼저 간단하게 개념부터 정리해볼게요.
퇴직연금이란,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금을 은행이나 보험사 같은 금융기관에 맡기고, 퇴직할 때까지 굴려주는 제도입니다. 기존처럼 회사가 퇴직 시점에 한 번에 돈을 주는 게 아니라, 미리 돈을 적립하고 투자하는 방식이죠.
그 덕분에 근로자는 퇴직금이 사라질 걱정 없이, 퇴직 후 노후 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하나 더 갖게 된 거예요.
확정급여형(DB): 회사가 책임지는 안정형
✔ 어떤 제도인가요?
**확정급여형(DB: Defined Benefit)**은 이름 그대로, ‘얼마를 받을지 정해진’ 제도입니다. 즉, 퇴직금 수령액이 근속연수와 평균임금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는 구조예요.
- 퇴직할 때 평균임금 × 근속연수로 계산
- 운용 성과는 회사 책임
- 근로자는 수익률에 신경 안 써도 됨
✔ 예를 들어 볼까요?
10년 근무한 직원의 평균 임금이 월 300만 원이면,
퇴직금은 300만 원 × 10년 = 3,000만 원
운용 성과가 좋든 나쁘든, 이 금액은 그대로 보장됩니다.
✔ 장점과 단점은?
장점
- 퇴직금이 안정적으로 보장됨
- 투자에 대해 몰라도 걱정 없음
단점
- 수익이 아무리 나도 퇴직금은 고정
- 회사가 재정난이면 위험 가능성 존재
확정기여형(DC): 내가 관리하는 투자형
✔ 어떤 제도인가요?
확정기여형(DC: Defined Contribution)은 회사가 매년 일정한 금액을 근로자 명의 계좌에 넣어주고,
그 돈을 어떻게 굴릴지는 근로자가 직접 선택하는 구조예요.
- 연간 급여의 1/12를 회사가 계좌에 적립
- 근로자가 펀드, 예금 등 투자 상품을 선택
- 수익률에 따라 퇴직금 변동
✔ 예시로 보면?
매년 300만 원씩 회사가 넣어줬다고 해볼게요.
근로자가 10년 동안 연평균 5% 수익률로 투자했다면,
퇴직금은 300만 원 × 10년 + 수익 = 약 3,800만 원 이상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수익이 마이너스면, 퇴직금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장점과 단점은?
장점
- 수익이 좋으면 퇴직금도 많이 받을 수 있음
- 다양한 상품에 투자 가능, 내 자산처럼 관리 가능
단점
- 투자 성과에 따라 손실 가능
- 관심 없거나 잘 모르면 손해 보기 쉬움
그럼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사실 대부분의 직장인은 회사에서 정한 제도를 따르게 됩니다.
하지만 퇴직연금 제도는 기업 복지의 핵심 요소인 만큼, 입사 전 확인하거나 이직 시 비교해보는 건 필수예요.
-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원한다면 DB형
- 투자에 관심 많고 수익 추구형이라면 DC형
또한 직장인이 직접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를 추가로 만들어, 세제 혜택도 받고 노후 대비 자금을 늘릴 수도 있어요. DC든 DB든 IRP는 무조건 챙기세요!
마무리하며: 퇴직금은 '미래의 나'를 위한 선물
지금 당장 퇴직이 먼 얘기 같아도, 어느 순간 나도 퇴직을 고민할 시점이 옵니다.
그때 후회하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퇴직연금의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하는 게 중요해요.
퇴직금은 그냥 나오는 돈이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 운영하느냐에 따라 수천만 원까지 차이 날 수 있습니다.
‘확정기여형(DC)’과 ‘확정급여형(DB)’, 이 둘의 차이 이제 확실히 아셨죠?
앞으로 퇴직연금 이야기가 나왔을 때, "나 그거 알아!" 하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을 거예요.
그리고 무엇보다, 내 퇴직금을 제대로 지키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