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서킷 브레이커 발동 시간

주식틈새정보 2025. 4. 10. 09:21

목차



     

    이번 글에서는 서킷 브레이커의 발동 조건과 구체적인 발동 시간, 그리고 우리가 이를 통해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까지 친절히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다 읽고 나면 앞으로는 주식 시장이 갑자기 멈췄을 때, 당황하지 않고 그 이유와 의미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될 겁니다.

     

    서킷 브레이커 발동 시간

     

    서킷 브레이커란 무엇인가요?

    서킷 브레이커는 쉽게 말해 주식 시장이 과도하게 급락할 경우 이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안전장치입니다. 마치 가전제품에 과열 방지 장치가 있듯이, 시장도 지나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이런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죠.

    목적은 단 하나! 투자자들의 과도한 공포와 패닉 매도를 잠시 멈추게 해서 시장이 스스로 진정할 시간을 주는 겁니다.

    서킷 브레이커 발동 조건

    서킷 브레이커는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 시장에 모두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발동됩니다.

    1. 코스피/코스닥 종합지수가 전일 대비 8% 이상 하락할 경우
    2. 하락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되었을 경우

    즉, 단순히 잠깐 떨어졌다고 바로 발동되는 건 아니고,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급락 상태가 유지되어야만 작동합니다.

    그렇다면, 정확한 발동 시간은 어떻게 될까요?

    서킷 브레이커 발동 시간

    서킷 브레이커는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발동되며, 시장 운영 시간 내에서만 적용됩니다.

    1단계: 1차 서킷 브레이커

    • 발동 조건: 지수가 8% 이상 하락하고 1분 이상 유지
    • 발동 효과: 주식 매매 전면 중단 – 20분간 거래 정지
    • 적용 시간: 오전 9시 5분 ~ 오후 2시 20분 사이만 발동 가능

    ※ 오전 9시 정각~9시 5분 사이, 그리고 오후 2시 20분 이후에는 발동하지 않음

    2단계: 2차, 3차 서킷 브레이커

    실제로 국내에는 1단계만 운용하고 있으며, 미국처럼 2차·3차 서킷 브레이커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종목에 대해 발동되는 **‘개별 종목 서킷 브레이커’**도 있으니 참고만 해두세요.

    왜 발동 시간이 제한되어 있을까?

    이게 궁금하신 분도 많을 텐데요. 거래 초반과 마감 직전에는 시장의 변동성이 원래 큽니다. 특히 장 시작 직후에는 전날 해외 시장의 영향이 크게 반영되고, 장 마감 직전에는 기관 투자자들의 정산 거래가 몰리기 때문입니다. 이 시간을 서킷 브레이커로 막아버리면 오히려 시장을 더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어서, 중간 시간대에만 적용되도록 한 거죠.

    실제 사례로 보는 서킷 브레이커

    대표적인 사례는 2020년 코로나19 확산 당시입니다. 당시 코스피가 1,400선까지 폭락하며 단기간에 서킷 브레이커가 여러 차례 발동되었습니다. 특히 3월 13일에는 하루에 무려 3번이나 거래가 정지되는 사상 초유의 상황도 벌어졌죠.

     

    이런 시기에 서킷 브레이커가 없다면? 투자자들은 마치 지진이 난 것처럼 패닉에 빠져서 무차별적인 매도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시장 붕괴로 이어질 수도 있겠죠.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었다는 건, 시장이 큰 충격을 받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럴 땐 아래와 같은 대응이 필요합니다.

    •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말고 냉정하게 상황 파악
    • 뉴스와 공시를 확인하며 왜 하락했는지 분석
    • 추가 매매는 최소한으로, 관망하는 것이 좋음
    • 비상금이나 여유 자금 확보 여부 점검

    특히 한국에서는 동학개미운동 이후 개인 투자자들의 참여가 많아지면서,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적인 시각으로 시장을 바라보는 자세가 더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마무리하며: 시장은 언제든 흔들릴 수 있다

    서킷 브레이커는 시장의 ‘패닉 버튼’ 같은 존재입니다. 일시적으로 거래를 멈춰 시장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이후 투자자들의 대응과 전략입니다.

     

    이제는 서킷 브레이커가 언제, 어떤 조건에서, 어떤 시간대에 발동되는지 아셨으니 앞으로 주식 시장에 큰 충격이 와도 당황하지 않으시겠죠? 이 글이 여러분의 안정적인 투자에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혹시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나 더 깊이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이나 문의도 언제든 환영입니다!